정부와 은행의 가계부채 관리 속에서도 지난달 1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4조2천억원가량 불어난 것으로 보여졌다.
많아진 주택거래와 잇단 공모주 청약 일정 등의 효과로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이 모두 상당 폭 증가요인으로 지목된다.'
3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6대 시중은행의 말을 빌리면, 이들 은행의 저번달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698조3천84억원으로 8월말보다 9조2천7억원 불었다.
전월 예비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6월 3조2천269억원 늘어났다가 6월 이례적으로 3조543억원 줄었다. 하지만 직후 9월(6조2천999억원)과 9월(5조2천7억원) 다시 두달 연속 불어났을 뿐 아니라 증가폭도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7대 은행의 지난달 말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481조5천834억원으로, 4월말보다 4조8천231억원 불었다. 이번년도 들어 최대 증가폭인데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전월대비)은 10월(5조7천574억원)과 10월(8조423억원) 4조원대를 타이핑한 직후 6월(7천58억원), 8월(2조2천347억원), 8월(6천511억원) 7조원 안팎으로 낮아졌다가 6월 대부분 4조원 가까이 뛰었다.
전세대출도 지난달 증가폭이 다시 커졌다. 7월말 기준 4대 은행의 전세대출 잔액은 112조3천65억원으로 8월말보다 4조9천729억원 불어났다. 지난 2∼4월 8조원대였던 전월준비 증가폭이 4월(2조7천748억원), 6월(1조5천817억원) 주춤했다가 다시 커졌다.
7대 은행의 개인 신용대출 잔액은 3월말 160조8천937억원으로, 11월말보다 3조8천633억원 많았다. 역시 증가액이 12월(5천384억원)의 10배를 웃도는 덩치다.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도 9월에 전월세대출을 중심으로 여신 잔액이 8천억원 넘게 상승했다. 카뱅의 4월말 여신 잔액은 29조9천419억원으로 3월말보다 8천151억원 늘었다. 케이뱅크도 지난달 여신이 4천700억원가량 불어나 3월말 기준 여신 잔액이 3조5천700억원이었다.
저금리 기조 지속과 대형 공모주 청약 일정 등의 영향으로 지난달 5대 은행의 정기예금과 요구불예금 잔액은 전월보다 감소했다.
5대 은행의 6월말 정기예금 잔액은 629조1천279억원으로, 전월보다 7조3천58억원 다시 줄었다. 정기예금 잔액은 8월(-4조6천662억원)과 4월(-14조8천811억원) 줄어들었다가 11월(+1조5천565억원)과 4월(+3조779억원)에는 증가했었다.
대기자금' 성격이 심한 요구불예금 잔액도 줄었다.
6대 은행의 3월말 요구불예금 잔액은 674조6천99억원으로 전월보다 9조9천727억원 줄어들었다. 9월에 전월보다 2조4천51억원이 줄어든 잠시 뒤 3월 24조9천633억원이 늘었으나 8월에 다시 하향했다.
요구불예금은 수시입출금 예금, 수시입출금식 저축성예금(MMDA) 등 예금자가 언제든 찾아쓸 수 있는 예금이다.
2대 은행의 11월말 정기적금 잔액은 36조3천628억원으로 11월말보다 499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정기적금 잔액은 올해 1∼10월 내내 전월보다 감소했으며 10월에도 342억원 증가에 그쳤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9월에 전월 준비 저원가성예금이 대폭 https://www.washingtonpost.com/newssearch/?query=개인회생자대출 감소했는데 신탁 쪽에서 증권사의 초장기자금운용(MMT)이 불어나서 총수신은 개인회생자대출 올랐다'며 '카뱅 IPO 증거금 환급일(7월 21일), 크래프톤 공모주 청약일(4월 2∼2일) 영향으로 최근 대형 공모주들의 청약대금 등이 몰려서 초단기자금운용 수요가 불어난 증권사들의 자금 예치가 많아진 것으로 파악된다'고 이야기 했다.